본문 바로가기
장식재 · 표면소재/인테리어필름

[필름 들뜸] 필름 모서리, 코너부분이 떠요

by 리비앙 2023. 1. 4.

🛠️ 우리집 인테리어 하자 궁금증 해결 🛠️

Q. 필름 모서리, 코너부분이 떠요.

1. 필름 꺽임부위가 뜨는 이유

1) 밑작업 미흡(시공하자)

필름을 시공 하기 전 필름 부착면을 매끄럽게 만들어주기 위해 밑작업을 진행합니다.
MDF(합판)에 시공할 때는 거친 표면을 사포로 갈아내어 거친부위를 제거해주고 MDF에 파인 곳이 있으면 퍼티(핸디코트) 작업으로 면을 매꾸어줍니다.

이후 표면에 있는 먼지를 제거해주고 표면에 프라이머를 발라 필름의 접착력을 높입니다.

프라이머 칠은 기존 표면에 고무성분의 물질을 도포하는 역할운 하게되는데 이 때 모서리나 붓이 잘 들어가지 못하는 부위에 프라이머 도포가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프라이머 도포, 이물질 혼입, 표면이 파이거나 손상되는 경우 필름 들뜸 현상이 발생됩니다.

프라이머 도포 미흡을 확인하는 방법은 필름 들뜸 부위의 표면을 만져보면 프라이머가 도포된 곳은 미도포 부위보다 약간 표면이 거친(표면강도) 촉감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2) 꺾임부위 압력 불량(시공하자)

인테리어 필름의 주 성분은 플라스틱으로 되어있습니다. 그렇기에 필름 자체가 꺾임이 있을경우 원상태로 복원되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복원력을 없애주기위해서는 꺾임부위에 확실하게 줄이 생기게 하기 위해 코너부위를 꺾임 시작부위부터 마지막 부위까지 확실하게 눌러주어야합니다.

이 작업이 제대로 되었다면 코너부위에 들뜸이 발생하여도 해당부위의 필름은 90도로 꺾여있어야 합니다.

이렇게 제대로 꺾지않고 시공을 하게되면 필름 접착면이 적어 고정하는 힘이 줄어들고 필름이 복원하려는 힘보다 고정되는 힘이 약하여 떨어지게 됩니다.

3) 습, 열로 인한 들뜸 (환경하자)

 

(1) 습으로 인한 들뜸

정부 규정으로 인해 과거에는 필름에 유성 접착재를 사용하였지만 현재는 대부분이 수성 접착재로 바뀌었습니다. (친환경 소재 사용)

접착재가 수성으로 바뀌면서 습이 있는 부위는 접착력이 발생하지 않거나 급격히 낮아지기 때문에 필름 시공 전 반드시 주변의 습을 확인하고 시공하여야 합니다.
(우기에 필름 시공은 지양 합니다.)

(2) 열로 인한 들뜸

시공 부위가 햇빛을 직사하는 부위의 경우 필름에 열이 그대로 전달되어 변형이 옵니다.

후접착 필름의 경우 접착이 제대로 되기 전에 과한 온도차이나 열로 인해 변형이 더 빨리 발생하므로 햇빛에 직접적인 노출이 있는부위는 시공하는것을 지양합니다.

4) 제품의 접착력 부족

제품을 제조하면서 공장에서 일부 소재를 깜빡하고 미첨가하였거나 정해진 제품 숙성(양생) 시간을 지키지 않고 출고하게 되는 경우 접착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설마하지만 실제로 발생되는 경우들이 있으니 위 문제들을 파악했는데 문제성이 없다면 필름 자체의 문제일 가능성을 염두해두어야합니다.

필름의 접착력 부족은 경험이 아무리 많다고 하더라도 접착력이 현저히 낮아진 필름이지 않는 이상 현장에서 바로 파악할 수는 없습니다.

해당 필름을 판매하는 업체 혹은 생산처에 연락하여 접착력 테스트를 진행하거나 외부 검증 기관에 의뢰하여 접착력 테스트를 진행하여야합니다.

🛠️ 필름 모서리, 코너부분이 떠요 궁금증 해결 🛠️

위 글은 글쓴이의 사견입니다.

직접 문제 현장들을 방문하며 경험한 것들을 토대로 작성하였으며

잘못된 내용이 있다면 댓글을 달아주세요.

 

인테리어에 관해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다면 댓글이나 이메일을 보내주세요.
사진과 함께 첨부해주시면 원인을 파악하는데 수월합니다.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