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집 인테리어 하자 궁금증 해결 🛠️
Q. 장판에 이물질이 닦이지 않아요
투명필름층 안에 있는 이물질 | 제품하자 |
필름층 위에 이물질 (입주 전) | 영업 관리 하자 |
필름층 위에 이물질 (입주 후) | 사용하자 |
1. 장판에 이물질 발생 원인
1) 제품하자
이물질 확대 사진을 보시면 얼룩 위에 점같은게 보이실거에요.
위 사진은 루빼라는 확대경을 사용해서 찍은 사진으로 이물질이 필름층 아래에 있는것으로 확인되어 해당 현상 같은 경우 제품하자로 분류됩니다.
집에 비슷한 현상이 있는데 루빼가 없으실 경우 장판 위에 물을 한방울 흘린다음 핸드폰으로 확대를 해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2) 영업 관리 하자
영업사원을 통해서 바닥재 리모델링을 진행 했는데 필름층 위에 손상이 생긴 경우는 영업귀책입니다.
단, 입주 전 독자님들께서 확인 하신 내용만 증빙이 가능하며 입주 후에는 리모델링 도중에 발생했는지 확인할 방법이 없습니다.
인테리어 영업사원은 해당 현장에 대한 책임이 있으며 현장시공시 시공자 섭외 및 시공일정 조율을 도맡아서 하기에 리모델링 도중 시공상, 후공정상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입주전이라면 영업의 관리하자로 볼 수 있습니다.
3) 사용부주의
장판의 겉면은 필름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뜨거운 열이 가해지거나 과도한 마찰로 인해 표면이 손상 될 수 있습니다.
장판에 염색약이 떨어질 경우 장판에 염색이 스며들어 지워지지 않습니다.
산성도가 있는 청소약품의 경우 장판 표면 필름층을 녹여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2. 조치방법
쪽갈이 | 해당 부위만 무늬를 맞춰 접착하는 방법 |
폭갈이 | 해당 부위가 속한 폭을 교체하는 방법 |
쪽갈이는 칼 끝이 미세하게 흔들리게되면 보수를 본게 티가 나게 되기 때문에 정말 높은 기술이 필요합니다.
폭갈이는 폭 전체를 교체하는 것이므로 해당 폭 위에 있는 가구나 물건들을 옮기고 작업을 진행하여야 합니다.
※ 주의사항
장판은 동일 로트가 아닐 경우 색상차이가 발생하거나 동조엠보(이음부 무늬) 차이가 발생할 수 있어 최대한 동일 로트로 보수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시공후 남는 자재는 창고에 보관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장판 이물질 궁금증 해결 🛠️
위 글은 글쓴이의 사견입니다.
직접 문제 현장들을 방문하며 경험한 것들을 토대로 작성하였으며
잘못된 내용이 있다면 댓글을 달아주세요.
인테리어에 관해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다면 댓글이나 이메일을 보내주세요.
사진과 함께 첨부해주시면 원인을 파악하는데 수월합니다.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장식재 · 표면소재 > 장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웨이브] 장판이 뱀이 지나간 것처럼 울어요 (0) | 2023.01.07 |
---|---|
[이음부 터짐] 모서리 이음부가 벌어졌어요 (0) | 2023.01.07 |
[변색] 장판이 노랗게 or 빨갛게 변색 됐어요. (0) | 2023.01.06 |
[동조엠보불량] 장판 이음부가 맞지를 않아요 (0) | 2023.01.05 |